어느 날, 동물보호단체에서 연락이 왔다. 길고양이 TNR(Trap-Neuter-Return)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겠느냐는 제안이었다. 길고양이 개체 수를 조절하고, 더 건강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이 프로젝트는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, 직접 참여한 적은 없었다.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. 수의사로서 내가 가진 기술이 이 아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면, 기꺼이 시간을 내야겠다고 생각했다.길고양이 문제는 단순한 동물 보호 차원이 아니다. 도심 속에서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존재들에 대한 책임이자, 인간과 동물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과정이다. 중성화 수술을 받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고양이들에게 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. 그것이 TNR의 핵심이었다.이 프로젝트에 참여..
한 번은 야생동물 구조센터를 방문해 치료 봉사를 한 적이 있다. 처음에는 단순한 경험이라고 생각했지만, 그곳에서 만난 부리가 부러진 올빼미가 내 생각을 바꿔 놓았다. 야생에서 부리가 부러지면 스스로 먹이를 구할 수 없어 생존이 어려워진다.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치료와 재활을 돕는 것이었고, 다행히 올빼미는 점점 나아졌다. 그리고 마침내 다시 숲으로 날아갈 수 있었다.그 순간 나는 깨달았다. 야생동물 구조는 단순히 동물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다. 자연과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고민이며, 우리가 환경을 보호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는 활동이었다. 작은 관심과 실천이 자연과 생태계를 살릴 수 있다는 사실을 직접 경험한 순간이었다.인간이 만든 환경 속에서 고통받는 야생동물들야생동물 구조센터에서 머무는..